본문 바로가기

내 몸에 필요한 차(Tea)

성격유형검사 MBTI 내부활동에 적극적인[I유형]

성격유형검사 MBTI_내부활동에 적극적인 I유형 알아보기

지난시간부터 시작한 MBTI의 8가지 선천적 선호경향 알아보기. 오늘은 [I유형]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 합니다. 간단히, 성격유형검사인 MBTI는 선호경향을 파악하여서 사람들이 어떤행동을 하며 어떤 판단을 할 때 더 편안하게 사용하고 쓰는 지 유형을 파악하는 심리검사라고 생각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래서 성격유형검사에는 8가지 선호지표를 통한 성격유형을 나눌 수가 있는데요 이 표를 보시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 됩니다.

 E유형 (외향)

I유형 (내향) 

S유형 

N유형 

T유형 

F유형 

J유형 

P유형 


지난 번 시간에 다루었던 E유형은 기억이 나시나요? 
E유형은 '외향적'인 성향을 더 편안하게 쓰는 사람들입니다. 에너지를 밖으로 내 보내는 사람들을 칭하죠. 그래서 외부활동에 굉장히 적극적이며, 인간관계는 폭 넓은 대인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말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해서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분위기를 이끌어 가기도 합니다. 사교성이 좋기도하며 정열적이고 활동적인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바로 E유형입니다. E형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함께 알아볼 I유형은 어떤 성격을 편하게 쓰고 있을까요? E유형 외향적인(Extraversion) 에너지 방향과는 반대로 I유형은 내향형(Introversion)입니다. 즉, 에너지 방향이 내부로 향하고 있다는 말이죠. 그래서 외부보다는 내부활동에 더 집중력을 높입니다. 대인관계가 넓은 E유형과는 다르게 소수이지만, 굉장히 깊은 인간관계를 추구합니다. 그래서 하나하나 모두 소중한 인연들을 가지고 있으려고하며, 말을 많이 하지 않기에 글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편지를 쓰거나, 혹은 어딘가에 나의 생각을 적어두는 것도 좋아하기도 합니다. E유형과 가장 다른 것 중 하나는 바로 '비축에 의한 에너지 충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E유형은 사람들을 만나며, 이야기하면서 에너지를 충전하지만 내향형인 I유형은 사람들을 만날 때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그러기에 꼭 혼자만의 공간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여러사람과 대화하는 것보다는 1:1대화를 통해 깊이있는 소통을 하기 원하며, 조용하고 신중한 성격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E유형은 먼저 경험 후, 이해를 한다면 I유형은 이해를 모두 한 후에 행동을 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 I유형 특징

-에너지방향 >> 자기내부 / 내부활동에 집중력 / 글로 표현을 좋아함 / 자기만의 공간, 시간이 필요함 / 깊이있는 소수의 대인관계 / 조용하고 신중 / 이해를 한 다음 행동, 경험

사실, E유형과 I유형은 너무나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아니 안하는 상태에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려한다면 너무나 힘든 관계를 지내야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서로 '이해'하고 이 사람이 왜 이런 생각을 하고 이런 행동을 하는 지 알고 있다면 많은 갈등은 피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한 TIP들을 알려드릴게요! I유형(내향형)의 분들은 E유형(외향형)의 분들과 이야기 할 때 특히, 중요한 이야기를 할 땐, 큰목소리로! 혹은 힘있고 열정적인 목소리로 해 주셔야 외향형 분들은 잘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내향형분들은 중요한 부분을 말할 때 오히려 조용하고, 끊으면서 이야기 하는 특징이 있지만 외향형분들은 중요한 건 큰 목소리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E유형(외향형)분들은 I유형(내향형)분들에게 말할 때나 표현할 때 굉장히 부담스러워 할 수도 있다는 걸 항상 염두에 두시면 좋습니다. 내향형인 분들은 외부로 표현하는 걸 편하지 않게 느끼시는데 그걸 무시하시고 무작정 달려들고 표현하다보면 오히려 내향형 분들은 뒤로 물러서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너무나 다른 성격을 가진 E유형과 I유형을 살펴보았습니다. 성격유형검사 MBTI를 통해서 보니 훨씬 더 정리가 쉽게 되었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제가 항상 말씀드리고 싶은 건 이 모든 성격은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어떤 선호지표를 내가 편하게 느끼느냐에 차이 일 뿐이니 나를 사랑하고 내 성격을 좋아해주신다면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인식기능인 S유형(감각)rhk N유형(직관)은 어떤 선호지표이며 어떤 기능을 가진 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